GTX great train express
수도권 외곽에서 서울 도심의 주요 거점을 연결하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로, GTX A·B·C 등 3개 노선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이는 2011년 국책 사업인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2011~2015년)에 포함됐으나 사업 추진 주체 등을 놓고 논쟁이 일면서 사업이 지연됐고,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2016~2025년)으로 조정된 바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GTX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GTX는 A(경기 파주 운정∼화성 동탄역), B(인천 송도∼경기 마석역), C노선(경기 양주∼경기 수원역)
3개 노선으로 나눠지며, 3개 노선 모두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GTX A, B,C 노선은 최고시속 200km, 평균시속 100km의 속도로 주행하기 때문에 경기도나 인천에서 서울 도심까지 현재 2~3시간 걸리는 교통시간이 20~30분 이내로 대폭 단축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24년 6월 완공예정
GTX A 노선
(파주 운정역 ~ 화성 동탄역)
경기 파주(운정)∼일산∼삼성∼동탄 간 총 83.1km 길이의 노선이다. 정거장은 파주 운정역, 킨텍스역, 대곡역, 연신내역, 서울역, 삼성역, 수서역, 성남역, 용인역, 동탄역 등 10곳이다. GTX A 노선의 파주~삼성 구간은 수익형 민자사업(BTO·build-transfer-operate)으로 추진되는데, BTO는 민간이 건설하고, 정부가 소유권을 갖지만 일정기간(20~50년) 민간이 운영해 투자금을 회수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 구간은 2018년 4월 신한은행 컨소시엄이 민자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으며, 삼성~동탄 구간은 정부 재정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노선이 개통되면 일산에서 서울역까지 기존 52분에서 14분으로 단축되며, 일산에서 삼성역까지도 80분에서 20분으로 크게 단축된다.
[길이] 파주 운정역 - 일산 - 삼성 -동탄 총 83.1km
[정거장] 운정역 - 킨텍스역 - 대곡역 - 연신내역 - 서울역 - 삼성역 - 수서역 - 성남역 - 용인역 - 동탄역
운정-삼성(민자구간)으로 실공사구간이며 수서-동탄은 수서평택소속선을 공유하게 됩니다.
GTX A노선의 매력적인 부분은 강남권에서 상대적으로 멀었던 (기존 서울 교통으로 움직이면 2시간 이상 소요) 일산 파주 지역과 강남의 연계가 아주 좋아진다는 점으로 들 수 있습니다. 운정에서 삼성까지 23분이면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또한 GTX A노선과 별개로 동탄에서 지선으로 뻗는 안성-진천-혁신도시-청주 확정도 좋은 호재로 보여집니다. 청주의 경우에는 청주공항에서 연장하여 동청주확장까지 원했지만 안타깝게 진행되지 못했습니다.
GTX 신설로 인해 나타나는 절감효과가 아주 좋습니다. 이러한 절감으로 인해 녹색성장국가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GTX에 관한 궁금하신 부분이 있을텐데요. 지하철보다 깊게 들어간 (50m) 빠른 철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땅속깊이 있어 이동시간까지 체크하게 되면 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겠지만 일반 전철 철도와의 호환성까지 생각한다면 GTX 개통으로 얻게되는 파급력은 엄청날 것이라고 봅니다.
현재는 GTX-A 노선은 공사추진 중에 있으며 계획대로 거의 진행되고 있습니다. 빠르면 2024뇬 6월 만나볼 수 있다고 합니다.
사업구간사업규모공사/ 운영기간총사업비사업추진방식
경기도 파주시 연다산동 일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일원 |
건설연장 : 42.6km / 정거장: 5개소(운영 10개소) / 운영연장 : 79.9km / 차량기지: 1개소(파주시 연다산동 일원) |
공사기간 : 60개월 / 운영기간: 30년 |
27,012억원 (공사비 21,435억원) |
BTO(Build-Transfer-Operate) 방식 |
지하교통시설은 얼마나 안전할까? [국토교통부X사물궁이]
Gripper TBM 통과현황
현재는 GTX A노선 진행중으로 해당 A노선 정보를 공유해봅니다. A노선 동탄역부터 해서 지선 동탄-안성-진천국가대표선수촌-충북혁신도시-청주국제공항 으로 지선확장이 된다고 합니다. 이러한 중부내륙철도 계획으로 수도권 및 중부권이 발전되기를 바래봅니다.
GTX B 노선
(남양주 마석역 ~ 인천 송도역)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서울시 중랑구·동대문구·중구·용산구·영등포구·구로구~경기도 부천시~인천광역시의 부평구·남동구~송도국제도시까지 총연장 80.1km의 노선이다. 운행 노선은 마석역(기점)~평내호평역~별내역~망우역~청량리역~서울역~용산역~여의도역~신도림역~부천종합운동장역~부평역~인천시청역~송도역(종점) 등 13개 역으로 계획돼 있다.
GTX C 노선
(양주 덕정역 ~ 수원 수원역)
경기 양주~수원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양주(덕정)~청량리~삼성~수원 간 74.2km(정거장 10개소)가 해당된다. GTX C는 당초 의정부-금정으로 계획됐으나 B/C가 0.66에 그쳐 사업성을 확보하지 못하자 노선을 양주와 수원으로 연장하는 방법으로 수익성을 높이면서 2018년 12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GTX C가 개통되면 수원~삼성 구간은 78분에서 22분으로, 의정부~삼성 구간은 74분에서 16분으로, 덕정~청량리 구간은 50분에서 25분으로 단축된다.
'3F - 지식센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 투자방법 금테크 금시세 금펀드 금통장 실제 안전자산 금모아 추천인 (0) | 2021.07.20 |
---|---|
연금저축펀드 노후준비 퇴직 개인 연금ETF 투자방법 (1) | 2021.07.20 |
김치프리미엄 김프 (0) | 2021.05.11 |
이더리움 클래식과 이더리움의 차이 차트분석책 (0) | 2021.05.05 |
이더리움 최고가 경신 가상화폐 공부 초보 (코린이) 코인데스크 (1) |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