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별관 - 카페 소식

소아 응급센터 전문의가 페이스북에 남긴글

by 새미 2021. 1. 25.
반응형
SMALL

페이스북 출처 ㅣ Allison Lee 

소아응급센터에서 진료를 한지 6년.

학대로 숨진 16개월 아이의 일로 세상이 떠들썩하지만

사실 이 곳에서 근무하는 우리들에겐 일상에 가깝다.

다만 아무리 겪어도

익숙해지지 않고, 담담해지지 않는 아주 특이한 일상.

응급실에 딱 일주일만 있어 보시라.

당신의 상상을 초월하는 오만가지 경우를 경험하게 된다.

맞아서 오는 아이.

싸워서 오는 아이.

교복을 입은 채 임신 해 오는 아이.

배달 오토바이를 타다 다쳐 오는 아이.

성폭행 당해 오는 아이.

자살시도 후에 오는 아이.

그러다 자살에 ‘성공’하여 숨이 멎은 채 오는 아이.

학대가 의심되나 보호자가 진료를 거부하는 아이.

자살을 시도했으나 보호자가 나타나지도 않는 아이.

드라마틱한 과정과 결과가 알려지는 아이만

학대당하는 것이 아니다.

이 시간, 이 순간, 오늘도, 내일도

아이들은 학대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다.

2021/01/06 - [별관 - 카페 소식] - 포항 제자들 교회 부설 큰동그라미어린이집 CBS 안동침례교회

2021/01/07 - [별관 - 카페 소식] - 정인이 사건 경찰징계/ 경찰 내부 시스템 문제 :정인아 미안, 더 이상 용기가 안난다. 현직 경찰의 사과

그렇기에 그 중심에서 매번 아이들을 마주하는 나는

"정인야 미안해" 와 같은 SNS 챌린지나

국민청원, 가해자 엄벌을 위한 진정서 같은 것들이

역설적으로 얼마나 무의미하고 방관자적인지,

더 솔직한 마음으로는

그것이 얼마나 가벼운 셀프 속죄의 유희인지

분명히 말할 수 있다.

소아과 의사들은 보통 스물 예닐곱 즈음

내가 치료하던 아이의 죽음을 처음으로 경험하고,

그 순간이 심장 속에 박제되듯

강렬한 기억으로 영원히 남는다.

그리고 또 한 번의 죽음, 두 번, 세 번의 죽음,

그렇게 몇 십번의 죽음을 겪어내고

조금씩 눈물이 덜 날 때 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되고, 또 부모가 된다.

직업적으로는 점점 더 익숙해지고, 냉정해지지만

그 때의 나는 엄마가 되어 있기에

어쩔 수 없이 감정이입이 되고, 가슴이 미어지고,

눈물이 다시 흐르는 혼란스러운 경험의 반복.

그리고 그 정점에 있는 것이 학대아동의 진료다.

학대당한 아이의 진료를 보고, 전후사정을 파악하고,

신고를 하고, 진단서를 작성하고,

입원을 시키거나 혹은 사망선고를 하고,

그리고 집으로 돌아와

말간 얼굴로 안기는 내 자식들을 볼 때

내가 느껴야했던 죄책감은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종류의 감정.

어쩌면 그래서 나는 저 가벼운 미안해 챌린지가

더 야속한가보다.

미안하다는 공허한 말로는 아무 것도 바뀌지 않음을

너무 잘 알기 때문에.

국민들은 슬픔과 분노를 좇아 쇼를 하고,

그러면 정책결정자들은 쇼에 부응하기 위해

더 쇼같은 법안을 발의하고,

결국 실체없는 보여주기식의 행정이 펼쳐진다.

사실은 아무도 연관되고 싶어하지 않고,

그래서 결국, 아무도, 아무도 진실로 책임지지 않는다.

그리고 학대받던 아이들은 대부분 돌볼 사람이 없다는 핑계로

그 지옥도 속으로 다시 돌아간다.

가해자 엄벌을 탄원할 것이 아니라,

아동보호국을 정식으로 만들라고,

보호아동을 위한 시설을 만들고,

거기에 인력과 예산을 넣으라고 호소해야 한다.

약사에게도 신고의무를 부여하자 따위의

되도않은 법령을 발의할 게 아니라

사설기관과 민간병원에만 속수무책 떠넘겨져있는

일을 나라에서 챙겨서 하라고.

그런데 지금 세금은 어떤 곳에 사용되는가.

경찰에는 과연 학대아동과 신고자를 보호 할

재량과 능력이 있는가.

의사들은 신고 후 신분비밀과 생업유지 보장이 되는가.

해결책을 제시하고 나부터 행동하고 싶지만

이런 사건의 중심에서 수십번 같은 상황을 겪고 나면

도대체 어디서부터 어디까지를 뜯어고쳐야

이게 가능한가 하는 회의가 든다.

이것저것 다 떠먹여주려다

오히려 최소한의 사회안전망을 다 찢어버린

아마추어 사회의 단면이 어제도 오늘도 적나라하다.

 

 

[무플방지] "정인이 양부모는 사과할 필요 없습니다"

[이데일리 박지혜 기자] “정인이 양부모는 사과할 필요 없습니다” 역사학자 전우용 씨는 7일 트위터에 “정인이 일로 총리와 경찰청장이 사과했습니다”라며 이같이 썼다. 전 씨는 “그들의

news.naver.com

 

반응형
LIST